보통 3GPP 검색시 3gpp xx.xxx 라고 구글링하면 아래처럼 Specification을 확인할 수 있다. 3GPP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1. 전체 구조
3GPP는 PCG (Project Co-ordination Group)과 TSG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s)가 있다.
PCG는 최상위 의결기구고, PCG 아래에 여러개의 TSG 그룹을 두고 있다.
TSG는 Radio Access Network, Core network, Service and system aspects, Terminals, GSM/EDGE LAN, Core network and terminals로 구성되어 있으며, TSG는 필요시 더 하위 그룹 개념인 WG을 만들게 된다.
2. 표준화 과정
초기 스터디를 통해 기술 보고서 (TR) 작성 → 추가되는 기능에 대한 타당성 조사 (Work Item 생성) → 기술적 내용과 상업성을 고려하여 "Feature" 정의 → "Building Block"으로 세분화 → 기능들을 더 작은 "Work Task"로 세분화 →
세분화 된 Work Task를 기초로 Work Item에 대한 연구 → TCG가 Work Item을 승인 → 3GPP 워크 프로그램을 통해 개별 회원, 파트너의 반대가 없으면 → PCG에 의해 채택
3. TSG/WG 문서 형태
x m i n n z z z z
x : 해당되는 TSG를 표시 (R, N, S, T, G, C)
m : WG을 표시 (보통 1, 2, 3...), TSG 자체인 경우는 "P"
i : 보통은 "-"
nn : 연도
zzzz : 문서의 고유 숫자
4. 표준 문서 종류
1) TS (Technical Specification)
3GPP 회의에서 논의되어 채택된 규격은 최종적으로 TS에 포함되게 된다. 고유 표준번호가 할당되며 title 마지막에는 TS의 release 정보가 부가되게 된다. 또한, 기고문과 CR에 의해 업데이트 될 수 있어서 하나의 TS에도 다수의 버전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 버전은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른다.
x.y.z
x : 1 (정보 제공을 위해 TSG에 제출), 2 (승인을 위해 TSG에 제출) 3이상 ("Change Control"에 의해 TSG가 승인)
1 presented to TSG for information;
2 presented to TSG for approval;
3 or greater indicates TSG approved document under change control.
y : 기술의 개선, 정정, 업데이트 (the second digit is incremented for all changes of substance, i.e. technical enhancements, corrections, updates, etc.)
z : 편집에 의해 변경된 경우 (the third digit is incremented when editorial only changes have been incorporated in the document)
2) TR (Technical Report)
단순히 option과 alternative를 분석하는 문서이다. TS와 달리 구속력이 없으며, 단지 특정 이슈, alternative 및 제안 사항을 검토한 것으로 일정 기간동안 유효하며, 최종적으로 TS로 될 수도, 폐기될 수도 있다.
3) CR (Change Request)
TS 및 TR에 기제된 내용에 대하여 변경 혹인 수정을 요구하는 문서로 넓은 의미의 기고문에 속한다.
'기타 > LTE, 5G' 카테고리의 다른 글
3GPP - 규격에서 쓰이는 단어들에 대한 의미 (shall, should 등) (0) | 2023.01.19 |
---|---|
3GPP - 5G Core 주요 규격들 (0) | 2023.01.19 |
3GPP - Change History, CR(Change Request) (0) | 2023.01.19 |
5G Network Functions and Entities (0) | 2023.01.19 |